SEOUL NATIONAL UNIVERSITY
검색창 닫기

정보화현황 (2021.1. 기준)

1. 비전

 

정보화 미션

• 이용자 중심의 지능형 IT 환경 제공으로 디지털 전환 선도

추진 목표

• 지능화(Smart):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캠퍼스 조성

• 개방화(Open): 대학 혁신 지원 데이터 허브 구현

• 통합화(Convergence): 정보자산의 효율적 통합과 운영

• 전문화(Specialization): 대학 성장 주도 디지털 역량 제고

2. 조직

 

주요 정보화 추진 기관 및 담당 분야

• 정보화본부: 대학 정보화 총괄 담당

• 각 기관: 조직의 업무 기능에 해당하는 분야의 정보화 추진

정보화 예산

• 총 117.9억(2021년 기준): 정보화본부 75.1억, 주요 정보화 추진 기관 42.8억

정보화 인력(2021.3.1.기준)

• 총 48명(법인직 기준): 정보화본부 40명, 각 기관 8명

  ※ 휴직 5, 교육파견 1 포함

• 법인직 외 자체직원, 외주인력, 행정직, 근로장학생 등 인력이 정보화, 행정, 사용자 지원 등 업무 수행

정보화본부 위치

• (관악캠퍼스) 102동, 02-880-8282

• (연건센터) 연건캠퍼스 의과대학 학생관(5동) 1층, 02-740-8088

 

3. 2020년도 현황

□ 정보시스템

◦ 행정정보시스템

- 프로그램: 단위 업무 644개, 메뉴 3,907개

- 유지보수: 2,815건 (기능 추가 130, 수정,보완,기타 2,685)

※ ’20.1월부터 연구행정시스템 유지보수 건수 제외

◦ 전자문서시스템

- 978,711건 문서 생성

- 통합행정, 연구행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의사결정용 문서 생성(753,559건)

◦ 메일시스템

- 178,319개 이메일 계정, 58.1TB 서비스 용량

◦ 포털시스템

- 이용자 수 : 185,300명

- 50기관 111개 서비스 SSO(Single Sign-On) 연계

◦ 홈페이지

- 1,453개 학내 홈페이지(학교 홈페이지 플랫폼* 이용 홈페이지 117개 포함)

* SNUPAL, 스누 CMS

◦ 도서관 학술정보시스템(중앙도서관 운영)

- 1,905,945건 서지 데이터베이스 보유

- 15,990건 전자도서관 디지털 콘텐츠 구축

◦ 이러닝(e-learning 시스템) (기초교육원 운영)

- eTL(e-Teaching & Learning)시스템 15,246개 강좌 중 10,793개 활용 (71% 활용)

- SNUON(SNU Open educatioN) 27,753회 수강신청 건수 (학생 19,253, 교수 469, 직원 455, 기타 7,470)

□ 정보기반

◦ 캠퍼스전산망

- 광케이블 학내 유선 212개동(수원, 광양 제외) 연결

- 16Gbps 인터넷 대역폭(KT 8Gbps, LG U+ 4Gbps, SK 브로드밴드 4Gbps)

- 10Gbps KREONET 첨단응용연구망

- 6,520여개 무선 AP/194개동 건물 설치

- 1,957대 유선망 스위치(L3 33대, L2 및 QoS 등 1,926대)로 코어백본 및 외부연계, 권역, 층간 스위치연결, 대역폭 관리

- 63,824개 아이피, 4,018개 도메인 보유

◦ 시스템 총 669대 서버(물리 104, 가상 565)

- 기간시스템 (통합행정, 연계, 통계정보, 게시판 DB 등): 43대

- 포털시스템 (포털, 전자결재, ITSM): 35대

- 통합인증 (통합인증 WAS/DB): 17대

- 메일시스템 (메일관리, 스팸차단): 33대

- 가상화시스템 (서버 임대, 웹호스팅 홈페이지, VDI): 352대

- 백업 및 관제시스템 (시스템 성능 및 장애관리): 14대

- 타기관시스템(연구행정, eTL, 홍보팀, 총무과, 입학본부): 82대

- 기타시스템(CTI, 연계, 테스트서버 등): 93대

◦ 호스팅

- 264개 부서 이용 (웹호스팅 181, 서버호스팅 59, 코로케이션 24개 부서)

※ 웹호스팅 서비스 사용 부서 기준 중복 제거

- 453개 웹사이트 수용

- 830개 서버 수용 (서버호스팅 169대, 코로케이션 661대)

◦ IT서비스센터 서비스 지원 건수

- 45,560건 IT서비스센터 상담 처리(전화 37,512건, 원격 2,450건, 게시물 2,570건, 내방 1,918건, 방문 1,110건)

◦ 정보화본부 PC 실습실: 코로나19에 따른 미운영

◦ 정보화본부 장비대여

- 보유수량 : 노트북 150대 (관악캠퍼스 130, 연건캠퍼스 20), 캠코더 2대 (연건캠퍼스 2)

◦ SW 라이선스 현황

- 총 13종 캠퍼스 라이선스 제공(MS윈도우, MS오피스, 한컴오피스, Adobe, V3, SPSS, SAS, Matlab 등)

□ 정보보안

◦ 1,003건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(바이러스, 개인정보 노출, 해킹, 스팸메일 등)

◦ 23종 51식의 보안 장비 운영

4. 2021년도 주요 추진사업

정보화본부

□ 정보화기획발전 과제

◦ 업무용 클라우드 협업서비스(Dooray) 도입 및 기 운영 서비스 이관ㆍ운영

□ 학내 정보화사업 지원

◦ (박물관) 가상현실(VR) 기술을 활용하여 온라인 박물관 구현 및 고품질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 유물 정보 등록

◦ (규장각 한국학연구원) 역사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

◦ (보건진료소) 전자의무기록(EMR), 의료영상(PACS), 홈페이지용 서버, 네트워크 등 노후 인프라 교체

◦ (경력개발센터) 경력개발센터 홈페이지 재 구축하여 다국어지원, 모바일환경지원, 디자인 등 개선

□ 정보서비스 개선

◦ 인공지능기반 지능형 서비스 구축

- 학생 데이터 분석, 개인 대학생활 수준측정 기준 마련 및 교수자에게 학생 지도정보 제공 서비스 구현

- 학내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교육 및 연구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

◦ 행정정보시스템 비표준 기술(ActiveX)을 제거하여 웹 호환성을 보장하는 운영 플랫폼으로 전환

◦ 수기업무 온라인화 및 서비스 확대

- 대학운영성과평가, 주요업무계획 등 수기로 관리 중인 성과 및 과제관리 업무 온라인화

- 기초교육원 대학운영경비 지급 관리, 대학영어 실습수업 관리, 학생자율연구 관리업무를 행정정보시스템에 통합 구현

◦ 차세대 이러닝 시스템 구축

- 다양한 교육내용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학습지원도구 도입 및 구축

- 차세대 학습관리 시스템 운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고도화

◦ 연구지원 정보시스템 고도화

- 화학물질 등록 후 사후관리가 가능한 체계 마련

※ 기존 화학물질등록시스템(S-CRS)에 연구실별 관리ㆍ폐기기능을 추가하여 화학물질관리시스템(S-CMS)으로 개편

- 모바일을 활용하여 화학물질 생애주기(등록-관리-폐기) 통합 관리가 가능한 체계 구현

□ IT 장비 및 서비스 유지·운영

◦ 정보시스템 관련 HW 및 SW 총 308품목(HW 174, SW 134) 유지보수 관리

◦ 서버관리, 행정정보시스템 운영, 캠퍼스망 관리, 보안관제, IT서비스센터 등 5종 용역관리

□ 캠퍼스 라이선스 SW 구매

◦ 11종 SW 재계약 및 학내 구성원 보급

◦ 학내기관 소프트웨어 공동구매 추진(Matlab, ChemDraw 2종)

◦ 전 기관 소프트웨어 사용실태 점검 및 정품 소프트웨어 문화정착을 위한 교육 홍보

□ 인터넷 서비스 지원

◦ 인터넷(16Gbps) 및 캠퍼스간 전용(4.2Gbps) 회선 지원

□ 사이버안전센터 운영

◦ 보안 전문 업체를 통한 통합보안관제 연중 서비스 운영

◦ 정보보호시스템 관제 모니터링 및 학내 침해사고 대응‧분석‧예방

□ 정보보안 활동 강화

◦ 보안위험대응 강화를 위한 해킹 모의훈련 추진 강화

◦ 교육부 정보보호 활동 협조 요청 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및 참여

◦ 정보보호 관리체계 수립운영 및 수준 진단 지속 관리

□ 개인정보보호 강화

◦ ʼ21년 학내 전 기관 대상 개인정보보호 활동 추진 강화

◦ 학내 기관 개인정보 보유 현황 집중 점검 확대

□ 인프라 고도화

◦ 도메인네임시스템(DNS) 노후 장비 교체(DNS 2대)하여 원활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

◦ 정보자산 보안취약점 점검 솔루션 도입

◦ 노후 무정전전원장치(UPS) 축전지 교체로 안정적 장비실 운영

기초교육원

□ 이러닝 체제 정착

◦ 강의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스튜디오, 기자재 관리

◦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및 표현방법 개발을 위한 SNU 영상 아카데미 운영

◦ 온라인 강좌 및 플립러닝을 포함한 블렌디드 러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러닝 활용 강좌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운영

중앙도서관

□ 학술정보시스템 운영

◦ 사용자 맞춤형서비스, 한중일 검색 기능 개선 등 차세대 학술정보시스템 및 학술자원 통합검색 솔루션 운영 및 고도화

- Alma-KERIS 상호대차(문헌복사, 대출) API 연동 개발로 업무 효율성 강화

- 수서, 정리, 대출, 통계(Analytics)시스템 등 단위 모듈별 업데이트 추진

◦ 학술정보시스템 IT 인프라 장비 기능 개선

- 고성능 부하분산(L4)스위치 도입으로 안정적 학술정보 서비스 환경 마련

- 학외접속(Proxy)서버 이중화를 통한 중단없는 학술정보 서비스 구현

- 주요 학술정보 서비스 서버(DB 및 어플리케이션 11개) 백업시스템 구축

□ 지식정보자원 플랫폼 구축

◦ 서울대 특성화 디지털 콘텐츠 확충*

* 역사기록물 콘텐츠 확충 및 메타데이터 보완, 학술적 가치있는 VOD콘텐츠 구축, 신규 지식정보자원의 수집, 업로드 중단 자료 파악 및 콘텐츠 구축

◦ 도서관 홈페이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사용자 이용편의 확대

◦ 사회관계망(유튜브 등) 활용 학술정보(학술행사동영상,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동영상) 공유 서비스 확대

◦ 서울대 기관리포지터리(S-Space) 기능 개선

- 자료 등록 및 관리자 기능 개선을 통한 S-Space 관리 효율제고

- 연구성과 평가분석도구(plumX)와 같은 인포그래픽 도입으로 자료 인용 및 활용도 향상

- 연구자료 관리 SW(DSpace) 버전 최신화(5.5 → 7.0)로 시스템 안정성 향상

◦ S-Space를 활용한 연구업적자료 통합 수집

- 학내 생산 학술자원의 망라적·체계적 서비스를 위해 주기적인 신규 데이터 조사 수집

- 공개 학술자료 수집 사이트 추가로 연구업적물 수집 기능 확대

- 홈페이지 곳곳에 산재해 있는 학술정보를 S-Space로 통합하여 이용자 접근성 향상

□ 스마트 미디어센터 운영 기반 조성

◦ 다목적 VR 제작 스튜디오 조성

- VR체험을 넘어 직접 VR/AR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이 가능한 다목적 VR 제작 스튜디오(VR Development Studio) 조성

- 실시간 움직임 트랙킹이 가능한 풀 바디 모션캡쳐 시스템(SW/HW) 구축

- 실감형 미디어 기술 기반의 공동 학습 공간 조성

- AI 스피커, 전자칠판 도입 등으로 IoT 기반 학습 환경 마련

◦ 창의미디어스페이스 이용 환경 업그레이드

- 영상 및 음성 관련 편집 S/W 확충 및 편집존 확장

- 다각적인 영상 촬영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 확충

- 학내 온라인 실시간/녹화 강좌 및 수업 등 지원

- 기초교육원과 협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시

◦ 미디어 콘텐츠 이용 환경 개선 및 서비스 활성화

- 인터넷 기반 미디어 콘텐츠 이용 (OTT)플랫폼 확대 및 지원

- 미디어 감상 환경 개선 및 장비 확충

- 실시간 스트리밍 기반의 영상 콘텐츠 확충

산학협력단

□ 연구정보화

◦ 간접비 마일리지 제도 도입에 따른 신규 시스템 구축

◦ 오프라인 업무 비중 축소를 위한 연구자 직접처리 가능한 시스템 확대

- 연구원 등록 및 서류제출의 과정을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축

- 연구원 출장신청 및 결과보고 관리시스템 구축

◦ 연구비 증빙서류의 전자화(Paperless) 추진 및 증빙관리 시스템 구축

- 증빙서류의 전자문서화 및 정산감사 대비 원본 대조 가능한 시스템 구축

☞ SRnD 증빙분류체계 도입 관리, 증빙번호 Key 발급으로 원본 조회 기능 제공

◦ 내·외부연계 시스템 확대 추진

- (연구비) 통합이지바로와 학생인건비 통합관리 수입/지출 내역, 지출증빙 파일 등 연계

- (연구성과) BK21 종합정보시스템과 논문, 특허/기술이전, 연구과제 실적 연계

◦ 이메일, 카카오톡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업무단계별 연구자 알림 서비스 강화

 

수정요청

현재 페이지에 대한 의견이나 수정요청을 관리자에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.
아래의 빈 칸에 내용을 간단히 작성해주세요.

닫기